1.문제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20842
프로그래머스
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
programmers.co.kr
2.정답
구현검증
package com.example.answersheet
fun main(){
val numList = intArrayOf(1,2,3,4,5,6,7,8)
println("몇 개의 배열로 묶을까요?")
val n = readLine()!!.toInt()
var q = 0
var answer:Array<Array<Int>> = Array(numList.size/n) {Array(n){0} }
for (i in 0 until answer.size){
for(j in 0 until n){
if (q < numList.size){
answer[i][j] = numList[q]
q++
}
}
}
for(i in answer){
println(i.contentToString())
}
}
정답
class Solution {
fun solution(numList: IntArray, n: Int): Array<Array<Int>> {
var answer:Array<Array<Int>> = Array(numList.size/n) {Array(n){0}}
var index = 0
for(i in 0 until answer.size){
for(j in 0 until n){
if(index < numList.size){
answer[i][j] = numList[index]
index++
}
}
}
return answer
}
}
3.고찰
해당 문제는 2차원 배열을 만드는 법을 이해한다면 꽤나 쉬운 문제가 된다.
answer의 범위만 잘 지정해주면 되기 때문이다
var answer:Array<Array<Int>> = Array(numList.size/n) {Array(n){0} }
에서 Array(numList.size/n)인 이유는 전체 Array의 크기는 numList를 n번 묶은 크기 즉 두 수를 나눈 값이 되기 때문이다.
그 안의 Array()의 크기는 n개씩 묶었으므로 n이다
2차원 배열 예제로 인덱스를 왜 저렇게 설정했는지 알아보자.
이전에 풀었던 로그인 검증할 때 만들었던 2차배열
val db:Array<Array<String>> = arrayOf(arrayOf("rardss","123"),
arrayOf("yyoom","1234"),
arrayOf("meosseugi","1234"))
에서
db[0][0] = "rardss"
db[0][1] ="123"
이다
즉 원래 문제로 돌아와서
answer[0]은 answer안에 있는 첫 번째 arrayof고
answer[0][0]은 answr안에 있는 첫 번째 arrayof의 [0]번째 인덱스의 값이다.
그러므로 우리는 n회 묶었으므로
answer[numList.size/n-1][n-1]까지의 인덱스를 가지고 있다
4. 참고 블로그
[Kotlin] 2차원 배열을 이해하고 사용해 보자!
코틀린에서의 2차원 배열은 다른 언어와 조금 다릅니다. 그리고 사용하는 방법도 여러가지 입니다. 우선들어가기 앞서서 행과 열에 대해 알아봅시다 가로로 쭉 한줄이 1행 입니다. 이 표는 가로
asuhdevstory.tistory.com